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Ugly Duckling
채권형 펀드 본문
채권형 펀드
펀드의 상품분류는 맡긴 돈을 주식에 얼마만큼 투자하느냐에 따라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으로 구분되는데, 주식과 채권에 각각 60% 이상 투자하면 주식형·채권형으로, 이도 저도 아니면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즉 '채권형 펀드'는 운용대상에 주식(주식관련 파생상품 포함)이 포함되지 아니하고 채권 및 채권관련 파생상품에 신탁재산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 참고
'주식형 펀드'는 주식 및 주식관련 파생상품(주가지수 선물.옵션)에 신탁재산의 60%이상을 투자하는 상품
'혼합형 펀드'는 주식편입비율에 따라 주식혼합형(주식편입비율 최고 50%), 채권혼합형(50% 미만), 기타혼합형으로 세분화됩니다.
금리와 채권형 펀드의 관계
원래 채권가격과 금리는 반비례의 상관관계가 있어 채권형 펀드는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의 가격이 올라 수익률이 좋아지지만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이 떨어져 수익률도 같이 떨어지는 경우가 통상적 입니다. 그래서 요즘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주식형 펀드의 약진이 두드러지면서 채권형펀드에 있던 3조원이 빠져 나가는 수모을 겪고 있습니다.
채권형 펀드의 특성과 선택요령
*시가 평가를 한다- 채권형 펀드는 모두 시가 평가를 한다. 매일 매일 시장의 금리를 반영하여 펀드 수익률을 반영한다.
*주식은 전혀 없다- 규정상 주식은 단 1주도 편입할 수 없다.
*편입 채권 종류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기도 한다- 공사채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를 공사채형 펀드라고 한다. 이 펀드는 매우 안전한 대신 수익률이 약간 낮을 수 있다. 반면, 회사채 등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는 전자에 비해 수익률이 높은 대신 신용도 면에서는 조금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기가 좋고 기업활동이 왕성할 때에는 일반 채권형 펀드에, 위기 상황일 경우에는 국공채형 펀드에 관심을 가지는 등 시장상황에 따라 펀드를 선택하면 된다.
*환매수수료가 있다- 단기, 중기형 펀드는 대부분 90일이 지나면 환매수수료가 없으나 그 이전에는 이익금의 몇 %를 환매수수료로 내야 할 수도 있으므로 투자기간을 잘 관리해야 한다.
[출처]경제야 놀자
펀드의 상품분류는 맡긴 돈을 주식에 얼마만큼 투자하느냐에 따라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으로 구분되는데, 주식과 채권에 각각 60% 이상 투자하면 주식형·채권형으로, 이도 저도 아니면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즉 '채권형 펀드'는 운용대상에 주식(주식관련 파생상품 포함)이 포함되지 아니하고 채권 및 채권관련 파생상품에 신탁재산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 참고
'주식형 펀드'는 주식 및 주식관련 파생상품(주가지수 선물.옵션)에 신탁재산의 60%이상을 투자하는 상품
'혼합형 펀드'는 주식편입비율에 따라 주식혼합형(주식편입비율 최고 50%), 채권혼합형(50% 미만), 기타혼합형으로 세분화됩니다.
금리와 채권형 펀드의 관계
원래 채권가격과 금리는 반비례의 상관관계가 있어 채권형 펀드는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의 가격이 올라 수익률이 좋아지지만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이 떨어져 수익률도 같이 떨어지는 경우가 통상적 입니다. 그래서 요즘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주식형 펀드의 약진이 두드러지면서 채권형펀드에 있던 3조원이 빠져 나가는 수모을 겪고 있습니다.
채권형 펀드의 특성과 선택요령
*시가 평가를 한다- 채권형 펀드는 모두 시가 평가를 한다. 매일 매일 시장의 금리를 반영하여 펀드 수익률을 반영한다.
*주식은 전혀 없다- 규정상 주식은 단 1주도 편입할 수 없다.
*편입 채권 종류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기도 한다- 공사채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를 공사채형 펀드라고 한다. 이 펀드는 매우 안전한 대신 수익률이 약간 낮을 수 있다. 반면, 회사채 등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는 전자에 비해 수익률이 높은 대신 신용도 면에서는 조금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기가 좋고 기업활동이 왕성할 때에는 일반 채권형 펀드에, 위기 상황일 경우에는 국공채형 펀드에 관심을 가지는 등 시장상황에 따라 펀드를 선택하면 된다.
*환매수수료가 있다- 단기, 중기형 펀드는 대부분 90일이 지나면 환매수수료가 없으나 그 이전에는 이익금의 몇 %를 환매수수료로 내야 할 수도 있으므로 투자기간을 잘 관리해야 한다.
[출처]경제야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