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t management/경제야 놀자

시스템 펀드의 종류

Double B 2008. 5. 9. 22:28
인덱스 펀드, 차익거래 펀드, 위험관리형 펀드의 세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 세가지 유형 중에서 시스템펀드라고 하면 위험관리형 펀드를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험관리형 펀드는 시스템에 입력된 조건에 따라서 주가가 떨어지면 매수를 하고 주가가 오르면 매도를 하는 방법으로 수익을 실현하는 펀드이며 위험관리형 시스템 펀드의 경우 올해처럼 주가가 오르고 내리는 것을 반복하는 조정장에서 좋은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 작년까지는 큰 인기를 끌지 못하다가 올해 대부분의 주식형 펀드들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에 위험관리형 시스템 펀드의 경우 플러스 수익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언론 등을 통해서 알려지면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위험관리형 시스템 펀드가 조정장에서는 좋은 수익률을 보여주지만 장기 하락을 하거나 장기 상승을 하는 장에서는 오히려 좋지 못한 수익률을 낼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가가 하락을 하면 매수를 하고 상승을 하면 매도를 하는 방법으로 조건을 정해 놓을 경우 장기 하락장에서는 지속적으로 주식을 매수를 하게 되기 때문에 펀드의 수익률 자체도 계속 마이너스가 나게 되고 장기 상승장에서는 지속적으로 보유 주식을 매도를 하게 되어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지요.
따라서 위험관리형 시스템펀드에 투자를 할 경우에는 어느 정도는 앞으로 주식 시장에 대한 예측이 필요할 것입니다.

차익거래 시스템 펀드는 현물과 선물간 가격차가 과도하게 벌어질 경우 현물과 선물에 동시에 투자를 하는 차익거래를 통해 가격차이 만큼의 무위험수익을 확보하도록 하거나 동일한 상품의 가격 차이가 발생할 경우 상대적으로 저 평가된 상품을 매입함과 동시에 고평가된 상품을 매도함으로써 같은 상품간의 가격차 만큼 무위험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펀드이며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를 대표적인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차익거래 시스템 펀드의 경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활성화가 되어 있지 못하고 현물 시장과 선물 시장을 전공하는 펀드 메니저가 나뉘어져 있는 상황에서 서로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이나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익을 내기가 어렵고 펀드의 운용규모가 커야 원하는 수익을 달성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인덱스 시스템 펀드는 시스템 펀드 중에서는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고 현재 투자자가 투자를 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스템 펀드입니다.
인덱스 펀드는 KOSPI200이나 KODI50과 같은 특정 인덱스를 목표주가로 정한 다음에 각 인덱스에 편입된 주식의 비중만큼 주식을 매입한 후 보유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펀드로 펀드의 수익이 인덱스의 변화를 따라가도록 운용을 하는 펀드로 장기적으로 주가가 상승할 것이란 기대를 할 경우에 좋은 투자가 될 수 있지만 하락할 경우 다른 주식형 펀드와 마찬가지로 지수가 하락한 만큼 마이너스 수익률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이 펀드에 대한 투자를 할 때도 어느 정도는 앞으로의 주가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경제야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