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t management/경제야 놀자
인프라 펀드 [Infra Fund]
Double B
2008. 5. 18. 22:01
인프라 펀드 [Infra Fund]
: '인프라'는 사회구조 또는 조직의 기반이라는 infrastructure의 약자로, 항만, 철도 등 각종 사회 간접자본시설을 투자대상으로 자금을 조성해 운영하는 펀드입니다. 지금까지는 특정 투자 주체자만을 대상으로 투자를 할 수 있었으나 새해부터는 일반 개인이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인프라 펀드의 장점
* 평균 수익률이 6 ~ 10% 정도에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가집니다.
* 장기 자산이 됩니다. 자산의 종류, 유지, 그리고 기술 발전의 진행 등의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수백 년까지의 만기를 가진 인프라 자산도 있습니다.
전망
세금 감소, 복지 예산 증가 등으로 정부의 인프라 자산에 대한 투자 부족이 확대됨에 따라 인프라 자산에 대한 민간 투자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는 글로벌한 펀드도 출시될 예정입니다.
※ 인프라펀드는 지금까지 시중의 은행 및 기관투자가들 사이에서 '사모' 형식으로 운용되었으나, 2006년 3월 최초로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약칭 'MKIF')가 주식공모 방식으로 개인에게 개방되었고, 그 주식을 한국증권선물거래소를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되었습니다. 2007년부터는 보다 다양한 인프라펀드가 조성되어 개인들에게 다가갈 예정입니다
[출처]경제야 놀자
: '인프라'는 사회구조 또는 조직의 기반이라는 infrastructure의 약자로, 항만, 철도 등 각종 사회 간접자본시설을 투자대상으로 자금을 조성해 운영하는 펀드입니다. 지금까지는 특정 투자 주체자만을 대상으로 투자를 할 수 있었으나 새해부터는 일반 개인이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인프라 펀드의 장점
* 평균 수익률이 6 ~ 10% 정도에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가집니다.
* 장기 자산이 됩니다. 자산의 종류, 유지, 그리고 기술 발전의 진행 등의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수백 년까지의 만기를 가진 인프라 자산도 있습니다.
전망
세금 감소, 복지 예산 증가 등으로 정부의 인프라 자산에 대한 투자 부족이 확대됨에 따라 인프라 자산에 대한 민간 투자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는 글로벌한 펀드도 출시될 예정입니다.
※ 인프라펀드는 지금까지 시중의 은행 및 기관투자가들 사이에서 '사모' 형식으로 운용되었으나, 2006년 3월 최초로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약칭 'MKIF')가 주식공모 방식으로 개인에게 개방되었고, 그 주식을 한국증권선물거래소를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되었습니다. 2007년부터는 보다 다양한 인프라펀드가 조성되어 개인들에게 다가갈 예정입니다
[출처]경제야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