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38)
Ugly Duckling
# preap [-F] pid...
http://www.adminschoice.com/docs/securing_solaris.htm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0453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837690
환헤지 [換 Hedge] * 換 : 바꿀 환 * Hedge : (손실·위험 등에 대한) 방지책 환헤지의 사전적 의미는 ‘환 위험의 방지’입니다. → 해외펀드 투자 시,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투자원금에 확정 환율을 지정해놓는 것을 의미하여 펀드를 환매할 때 당초 계약된 환율에 따라 돈을 돌려받는 것입니다. 2006년 수익비교 환헤지 원금(2006. 1/1) 환전금액(엔) 수익(10%) 평가액(엔) 최종금액(원) 안했을때 (X) 1000만원 100만엔 10만엔 110만엔 990만원 (12/31 환률) 했을때 (O) 1000만원 100만엔 10만엔 110만엔 1100만원 (1/1 환률)* 환율 1000원/100엔 → 900원/100엔 * 세금 별도 판넬 설명 환헤지는 해외펀드 환매시 원금..
펀드오브펀드 [fund of fund: 재간접 펀드] : 펀드 여러 개를 묶어서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일반적으로 펀드는 주식 편입 비율이 높으면 주식형, 채권에 투자를 많이 하면 채권형, 이런 식인데 펀드오브펀드는 이러한 여러 개의 펀드들에 투자하기 때문에 펀드오브펀드라고 불립니다. 즉, 주식이나 채권 등에 직접 투자하는 펀드가 아니라, 이미 운용되고 있는 '검증된' 펀드들만 모아서 만든 펀드입니다. '펀드오브펀드' 장점 펀드 오브 펀드는 펀드들에 분산 투자함으로서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액으로 국내의 우수한 펀드에 동시 투자할 수 있습니다. '펀드오브펀드' 주의점 펀드 오브 펀드는 일반 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좀 더 비싸고 편입 펀드수가 많을수록 그만큼 수수료..
인프라 펀드 [Infra Fund] : '인프라'는 사회구조 또는 조직의 기반이라는 infrastructure의 약자로, 항만, 철도 등 각종 사회 간접자본시설을 투자대상으로 자금을 조성해 운영하는 펀드입니다. 지금까지는 특정 투자 주체자만을 대상으로 투자를 할 수 있었으나 새해부터는 일반 개인이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인프라 펀드의 장점 * 평균 수익률이 6 ~ 10% 정도에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가집니다. * 장기 자산이 됩니다. 자산의 종류, 유지, 그리고 기술 발전의 진행 등의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수백 년까지의 만기를 가진 인프라 자산도 있습니다. 전망 세금 감소, 복지 예산 증가 등으로 정부의 인프라 자산에 대한 투자 부족이 확대됨에 따라 인프라 자산에 대한 민간 투자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
SRI 란? : SRI는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의 약자로 사회책임투자 펀드를 의미합니다. 기업 재무 구조뿐만 아니라 친환경, 사회 공헌활동, 윤리경영 등 다양한 사회적 성과가 높은, 우수한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ex) 예를 들어 하수처리를 하지 않는 화학회사가 있습니다. 물론 당장의 이익은 높을 수 있겠지만 그 후 벌금이라던가 환경이 악화되면 오히려 기업의 성장을 방해합니다. 하지만 환경 정화 시설을 갖춘 기업은 당장의 투자비는 들어가겠지만 지속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망이 좋다는 논리입니다. SRI의 전망 내년에 국민 연금에서 1500억원으로 3개 SRI 펀드를 시작으로 점차 더 많아 질 것을 예상 됩니다. 점차 심해지고 있는 양극화 문제를 치유하는 사회안전망..
하이일드 펀드란? 하이일드 펀드란 수익률이 높은 대신 신용등급이 다소 낮은 채권에 투자하기 때문에 투자 위험이 수반되는 고수익, 고위험 채권 펀드입니다. : 즉, 신용 등급 BB++ 이하인 채권이나 B+ 이하인 기업어음(CP)에 50% 이상을 투자하는 채권으로 위험한 만큼 수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투자 시 유의점 : 투자를 잘했을 때는 월등히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엔 원금마저 날려버릴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명시해야 합니다. 또한 폐쇄형 상품이기 때문에 만기까지 중도환매를 할 수 없고, 가입 후 180일 미만 시점에서 해약할 경우, 이익금의 70% 이상을 수수료로 내야 합니다. ◆ 회사채 신용등급 회사채는 기업사정에 따라 원리금 상환능력에 차이가 있다. 이를 표시하는 것이 ..
랩 어카운트(Wrap Account) 랩어카운트는 "포장하다"는 뜻의 'WRAP'과 '계좌'를 의미하는 'ACCOUNT'가 결합된 말로서 주식, 채권, 펀드, 파생상품, ELW 등 여러 금융상품 중에서 투자자의 기호에 맞는 상품을 골라 하나의 계좌로 싸서 전문가가 운용해 주는 '종합 자산관리계좌'를 의미합니다. 즉, 금융자산관리사가 고객의 투자 성향에 따라 고객의 돈을 맡아 주식이나 채권, 펀드 등에 투자해 돈을 굴려 주는 것을 말합니다. 서비스의 대가로 연간 2~3%의 수수료(Wrap fee)를 내고 추가 수수료 부담은 없습니다. 1) 일임형 랩 어카운트 : 고객의 성향에 따라 주식이나 채권, 펀드 등 투자자의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운용까지 증권사가 도맡아 하는 것. 2) 자문형 랩 어카운트 : 증..
1. 베트남 유전 펀드 :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1호 유전개발펀드'는 한국석유공사가 이미 생산하고 있는 '베트남 15-1 광구'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이 광구는 총 매장량이 6억 배럴로 추정되는데다 현재 하루 6만 배럴이 생산되고 있어 안정성을 담보하고 있습니다. * 해외자원개발보험을 통해 원금 일부를 보전해 줍니다. * 세제혜택: 2008년까지 3억 원까지는 배당소득 비과세, * 세제혜택: 2008년까지 3억 원 초과시에는 15.4%의 분리과세를 적용됩니다. ※ 해외자원개발보험 : 수출보험공사에서 원금을 보상해 주는 보험. : 베트남 유전 펀드는 지난 11月 29∼30일 청약에 들어갔고, 청약 후 3개월 이내 상장되어 늦어도 내년 2月에는 일반인들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의 4개 증권사..
1. 아시아 부동산 (중국, 홍콩, 호주, 베트남+일본) 아시아 부동산은 모둠형 신탁(정식명칭: Reits)의 일종으로, 아시아 지역의 부동산을 개발하고 있는 회사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중국과 인도, 불황을 딛고 살아난 일본, 관광지의 천국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의 고도 성장에 따라 새 건물이 들어서고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점점 올라, 세계의 자금이 모여들고 있는 것입니다. ※ 모둠형 신탁(정식명칭: Reits)은 직접 땅을 사는 것이 아니라, 부동산 투자 회사에 투자를 하여 위험성은 줄이는 것입니다. -8/27 에서 방송- 2. 환 헤지(Hedge)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투자원금에 확정 환율을 지정해놓는 금융기법. 즉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의 회피'를 환 헤지라 합니..
1. 어린이 펀드(Child Trust Fund) 한마디로 ‘시간에 투자하는 장기 상품’ 이 어린이 펀드입니다. 어린이 펀드란,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한 조기투자로 부모가 자녀의 미래를 위해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보통 펀드가 150~200종목으로 구성되었다면 어린이 펀드는 어린이들이 성장할 때까지 없어지면 안되기 때문에 60종목, 안정적이고 성장성이 큰 종목으로만 구성되어있습니다. 부모가 아이들의 돈을 무작정 맡아두지 말고, 어린이 펀드에 가입한다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어린이펀드는 어린 시절부터 돈 관리요령을 알려주고, 교육자금 마련, 경제교실 참여, 상해보험 무료가입 등 다양한 혜택이 많아 일석다조(一石多鳥)의 효과를 볼 수 있다. ※ 복리의 마술 복리[複利] ① 일정기간 마다 이자를 원금..
섹터펀드란? =섹터펀드란 특정 유망 업종에 집중해서 투자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투자대상은 자동차, 반도체, 건강(바이오), 은행, 정보통신(IT) 등이 있는데, 특히 섹터펀드는 특정업종에 집중하는 대신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투자대상은 전 세계로 넓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향후 국제적으로 반도체 주가가 오를 전망이라고 할 때, 국내 및 해외의 여러 반도체 회사에 골고루 투자를 하여, 주가가 올랐을 때 고수익을 얻게 되는 펀드이다. 반도체 섹터 펀드 : 4분기 경제성장을 예상해봤을 때 가장 유망한 업종이 바로 반도체입니다. 그래서 지난 6월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는데, 연말까지 지속될 계절적 성수기와 내년 윈도비스타 출시에 따른 PC수요 증가 및 반도체를 채용하는 IT제품 생산 확대 등으..
1. 보험금과 세금 구분 보험금 계약자=수익자 계약자≠수익자 보험상품 증여세 생존보험금 (피보험자생존) 없음 증여세 부과 저축성보험 2. 보험금과 세금 * 계약자 : 보험료를 지급하는 사람. * 피보험자 : 사고가 발생의 객체 * 수익자 : 보험 만기 시 보험금을 환급받을 사람. 1) 계약자 설정이 중요한 이유. 보험금의 경우 원칙적으로 보험계약자(매 달 보험금 내는 사람)와 보험수익자(만기 때 보험금 타는 사람)가 같아야 세금이 없습니다. ex) 20년 만기 시, 2억원 저축성 보험 가입 경우 즉, 계약자와 수익자를 동일인으로 설정함으로써 어느 정도 절세(증여세)의 혜택을 얻어 2400만원의 돈을 더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일정이상의 보험료가 만기가 되면 보험사에서는 자동적으로 국세청에 보험료 지급사실..
최근, 국제적인 저금리와 달러 약세로 신흥시장과 원자재ㆍ부동산시장에 대거 유입됐던 자금이 최근 선진국 증시와 미국 국채시장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유가 등 원자재값, 미국 부동산 가격, 신흥시장 주가가 급등세를 보였다 급락하는 과정에서 큰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적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 같은 극심한 가격 변동성 하에서 위험자산에 몰렸던 자금이 빠져나오면서 안전 자산으로 몰리는 현상이 뚜렷합니다. 이런 가운데 얼마 전 미국 중앙은행에서 금리 인상 동결안을 발표했습니다. 그래서 더욱 집중된 것이 바로 이 선진국 채권입니다. ※ 금리와 채권의 관계 금리는 채권의 할인율과 같은 의미여서 시중금리가 내리면(할인율이 낮아지면) 그만큼 채권 가격이 오르게 된다. ex) 연 5%이던 시중 (채권)금리가 연 4...
ELW (equity linked warrant 주식연동권리, 주식 워런트 증권) 만기에 특정종목의 주가나 주가지수를 미리 정한 가격에 사고 팔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증권. 약칭은 ELW 이다. 특정 주권의 가격 또는 주가지수의 변동과 연계해,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미리 약정된 방법에 따라 해당 주식 또는 현금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증권을 말한다. 다시 말해 특정 종목의 주가 상승이 예상될 경우, 해당 종목의 주식을 모두 사지 않더라도 일부 자금만 투자해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만 산 뒤, 차익을 올릴 수 있는 증권이다. 만기는 최소 3개월~3년 이내이다. 특정 종목 주식을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미래의 일정시점(만기일)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증권으로, 증권선물거래..
※ 콜(Call) ELW - 살 수 있는 권리 ELW(콜) 현재가 1만 원 주식M 현재가 10만 원 주식M 예상가(행사가) 15만 원 최종거래일(만기) 3개월 후 => 3개월 후, 예상가(15만원) 3개월 후, 예상가(8만원) 3개월 후, 예상가(8만원) ≥ 만기시, 주식M 가격 = (차액만큼) 이익 : 주식M의 ..
* 복리 투자시 주의점 복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3가지 핵심요소(①시간 ② 수익률 ③ 투자수익의 재투자)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고, 모든 사람이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투자를 해야 하며, 절대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내지 않고 한 두 번의 큰 수익보다 매년 꾸준한 수익을 얻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또한 투자로 번 돈을 소비하지 말고 재투자해야 한다. * 복리의 마법 천재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복리야말로 세계 여덟번째 불가사의이며 가장 위대한 수학의 발전이라고 명명했으며, 워렌 버핏은 40년 동안 꾸준하게 연평균 26.5%의 투자수익으로 원금 1억원의 1만2,000배 이상인 1조2천억원의 수익을 거뒀다. 또한 미국인이 인디언에게 24달러 정도 가치의 ..
1. 단리[單利] ①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된 이자율과 기간을 곱해서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 ②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다 2. 복리[複利] ① 일정기간 마다 이자를 원금에 합쳐 그 합계금액에 대한 이자를 다시 계산하는 방법 ② 복리계산은 (원금 +이자)에 이자가 붙는 것. ex) 연리 10%짜리 3년 만기 정기예금의 경우 * 단리로 계산하면 만기시 1300만원을 손에 쥐게 된다. 1,000만원 + (1,000만원 × 10% ×3) = 1,300만원 * 복리계산법을 따르면 만기시 1331만원을 받는다. [1,000만원 + (1,000만원 × 10%) + (1,100만원 ×10%) + (1,210만원 ×10%) = 1,331만원] => 위와 같은 복리 계산법에 의해 매월 50만원씩 복리로 장기투자 했을 경..
* 시스템 펀드 주의점 시스템 펀드는 원칙적으로 펀드매니저의 주관적 견해를 배제하고 입력된 시스템에 의해서 자산이 운용이 되기 때문에 일반주식형 펀드에 비해서 펀드에 대한 보수가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조가 조금 복잡하고 위험관리형 펀드나 인덱스펀드는 어느 정도 주식 시장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만약 앞으로 주식 시장이 올해와 같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내리는 것을 반복하게 될 것으로예상이 된다면 위험관리형 시스템 펀드에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고 장기적으로 상승을 할 것으로 예상을 한다면 인덱스펀드에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시스템 펀드에 대한 투자는 일반 주식형 펀드에 투자를 하시는 것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일반주식..
인덱스 펀드, 차익거래 펀드, 위험관리형 펀드의 세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 세가지 유형 중에서 시스템펀드라고 하면 위험관리형 펀드를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① 위험관리형 펀드는 시스템에 입력된 조건에 따라서 주가가 떨어지면 매수를 하고 주가가 오르면 매도를 하는 방법으로 수익을 실현하는 펀드이며 위험관리형 시스템 펀드의 경우 올해처럼 주가가 오르고 내리는 것을 반복하는 조정장에서 좋은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 작년까지는 큰 인기를 끌지 못하다가 올해 대부분의 주식형 펀드들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에 위험관리형 시스템 펀드의 경우 플러스 수익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언론 등을 통해서 알려지면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위험관리형 시스템 펀드가 조정장에서는 좋은 수익률을 보여주지만 장기 하락을 하거..
: 시스템 펀드란, 주식을 팔 때와 살 때를 미리 정해두고 이 목표치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매매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즉, 사람의 판단을 배제하고 미리 짜놓은 기준에 따라 기계가, 자동적으로 주가가 오르면 분할 매도하고 주가가 떨어지면 분할 매수하는 것입니다. 최근 주식시장이 급등락을 거듭하면서 고안된, 기대수익률을 다소 낮추고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유용한 시스템입니다. * 일반 펀드와의 차이점 일반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증시를 분석하고 판단에 맞춰 펀드를 운용하는 반면, 시스템 펀드는 파생상품이나 차익거래 등 프로그램 매매를 통해 펀드의 수익률 변동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펀드이다. 프로그램 매매는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장상황을 사전에 시스템에 입력한 뒤 시장변동에 따라 자동적..
재구매 어음이란 시중의 금융기관에서 RP, 즉 환매 조건부 채권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환매조건부 채권거래는 글자 그대로 환매, 즉, 되사거나 또는 되파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채권을 거래한다는 뜻입니다. 환매조건부거래를 뜻하는 Repurchase Agreement를 줄여 흔히 RP거래라고 부르기도 하고 환매채거래라고도 하죠. 파는 경우를 보면, 채권을 팔되 약속된 기간이 지난 후에 이자를 보태서 같은 채권을 되사는 조건으로 파는 거래이고 사는 경우를 그 반대가 됩니다. 따라서 환매조건부채권이라는 이름의 별도의 어떤 채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채권 가운데 가령 부도위험이 없는 국공채 같은 것을 대상으로해서 이러한 조건부 단기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이죠. 따라서 RP거래, 즉, 환매조건부채권거래는 형..
구분 ELD ELS ELF 판매기관 은행 국내 6개 증권사 투신사 투자형태 정기예금 가입 유가증권 매입 펀드 가입 상품구조 Warrant(외국증권사) + 예금 Warrant형 ELS (운용사 판매용) 결합형 ELS (창구판매용) Warrnat형 ELS +채권 상품성격 예금 유가증권 채권형 펀드 원금보장여부 원금보장 예금자보호법 적용 원금보장형 증권사 파산시 원금보장 불능 원금보존 추구 ELS발행 증권사 파산시 원금보장 불능 채권운용성과에 따라 원금보존여부 결정 중도해지여부 및 환매여부 중도해지 가능 해지시 원금손실발생 제한적 거래소상장이나 판매사를 통한 현금화가 제한적 중도환매 가능 해지시 원금손실 발생 장점 은행이 원금보장 시장 교섭력 큼 우수한 수익구조 제시수익률 보장 증권사가 원금보장 제시수익률 보..
주식연동계좌는, 원금의 95%는 안전한 국채를 매입하고 나머지 5%는 고수익을 기대하는 주식과 관련된 공격적인 곳에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에 투자한 5%를 1년이 지나 다 까먹었다고 하더라도, 95% 투자한 국채에 이자가 붙기에 원금이 그대로 보장될 수 있는 것입니다. ※ 주식연동계좌 종류 ① ELS (Equity-Linked Securities : 주가지수 연계증권 ) 주가지수의 변동과 연계하여 수익이 결정되는 신종 유가증권. ELS란 주로 개별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와 연계해 수익률을 결정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자산의 대부분을 채권 등 안전한 곳에 투자하고 일부를 주식이나 파생상품에 투자해 가급적 원금을 지 키면서 '+α' 수익을 얻도록 설계된 상품이다. 상품의 운용 구조가 대단히 복잡할 ..
1. 요즘 이런 연금, 저런 연금.. 종류가 참 많은데... 거기 하나에 넣는 것하고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은퇴생활을 위한 자금플랜으로 가장 좋은 것은 연금자산의 확보이다. 하지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연금액의 실질가치 보존이다. 은퇴초기에 잡아두었던 연금액 가지고는 그 당시에는 생활이 가능했을지 모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부족해져 간다. 따라서 연금액의 멀티플랜이 필요하다. 즉, 일정 시점에 가면 새로운 연금이 시작되어 줄어든 연금액의 실질가치를 보존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1억원짜리 바로받는 연금보험을 3개정도 가입하면서 연금지급시기를 분산하는 것이다. 하나는 60세, 하나는 65세, 하나는 70세 이런식으로 말이다. 그러면 같은 1억원이라도 거치기간이 길어..
국민연금 ① 국민의 기본적인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가 실시하는 장기적인 사회보험제도. ② 국가가, 개인이 일을 해서 돈을 벌 때 일정액(보험료)을 거둬 두었다 나이가 들면 매달 연금을 지급하는 사회보험. 개인연금 ① 개인이 보험 회사나 은행에 일정액을 불입한 후 일정 나이가 되면 해마다 일정액을 지급받는 연금. ② 개인연금은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과 달리 개인의 자유의사에 의해 가입하는 사적인 연금이다. ※ 2000년 이후 증권사들이 판매한 '주식 투자형 개인연금'의 경우 최근 3년간(2003~2006) 50~60%대 고수익을 내고 있는 펀드가 많다. 주식 투자형 개인연금이 활성화 된 이유 : 개인연금 수익률이 오히려 은행 예금이자(연 4~5%)를 밑도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가입..
: 국민연금 외 실질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라이프 사이클에 맞춰 저축(or 투자)기간, 개시일을 정하여 여러 연금에 가입하는 것을 의미. 즉, 연금을 분산하는 것이다. '연금 쪼개기'는 두 가지의 의미를 말합니다. ① 하나는 매달 넣는 돈을 쪼개는 것을 말합니다. 이계인씨의 잠든 돈 0000원을 한 곳에 넣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로 분리를 하여 넣는 것을 말합니다. ② 다른 하나는 받으실 때 필요에 따라 시기와 액수를 쪼개는 겁니다. 60세에 10만원, 65세 20만원, 70세에 30만원.. 이렇게 말이죠. 그러면 같은 금액이라도 거치기간이 길어질수록 상당한 이자액으로 인하여 연금개시 때 나오는 금액이 커지게 됩니다. 은퇴 후에 살아가야 할 시간이 점점 길어지는 요즘, 확실한 노후보장이 될 수 있..
국내시장보다 더 많은 수익을 기대하는 신흥시장, 또는 안정적인 선진국 시장으로 넓히기 위해 관심을 갖는 해외 펀드. 해외펀드는 어느 특정 지역의 주식, 채권, 실물자산 등에 투자하는 방식과 재간접투자 형식인 펀드오브펀드(Fund of Fund) 등 크게 2종류. 해외펀드는 재테크에 있어서 전체금액을 투자하기 보다는 위험분산 차원에서 약 20% 정도를 장기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 해외펀드는 국내에서 해외의 다양한 상품에 가입한다는 매력이 있으나 투자지역, 투자 상품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젊은 분은 신흥 이머징마켓, 보수적인 분은 글로벌 자산 배분형 & 일본 등 선진국형에 투자하시는 것이 좋을 듯. 가입기간은 중장기 관점에서 대체로 5년 이상으로 접근 투자상품은 투자할 곳의..